using System.Collections;
using System.Collections.Generic;
using UnityEngine;
public class Player : MonoBehaviour
{
// Start는 첫 프레임 업데이트 전에 한 번 호출됩니다
void Start()
{
}
// Update는 프레임마다 한 번씩 호출됩니다
void Update()
{
}
}
유니티로 개발을 하다보면 스크립트를 참 많이 작성하게 되는데,
그 때마다 Start와 Update 메서드가 적혀있는건 좋지만, 위에 주석은 슬슬 필요 없다고 느껴질 때가 있다.
위 주석은 단순히 해당 메서드의 설명이기 때문이다.
그래서, 위 주석을 스크립트를 새로 생성해도 적혀있지 않게끔 없애볼 것이다.
1. 유니티 에디터 폴더로 이동한다.
우선 템플릿을 제거하고자 하는 유니티 에디터의 설치 폴더로 이동해야 한다.
유니티 허브를 켜고, 우클릭을 해 탐색기에 표시를 눌러 폴더를 켠다.
2. ScriptTemplates 폴더로 이동한다.
위 방식대로 폴더를 열었다면 버전명 > Editor 폴더에 도착할 것이다.
그 폴더에서 Data > Resources > ScriptTemplates 폴더로 이동하면 다양한 스크립트 템플릿을 확인할 수 있다.
3. 81-C# Script-NewBehaviourScript.cs 을 수정한다.
81-C# Script-NewBehaviourScript.cs.txt라는 텍스트 파일이 있을 것이다.
이걸 열어서, 지우고자 하는 주석을 제거한다.
물론 원하는 걸 더 추가할 수도 있고, using 문을 수정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.
주석을 제거한 텍스트 파일의 내용은 아래와 같으니, 이걸 복사해서 써도 좋다.
using System.Collections;
using System.Collections.Generic;
using UnityEngine;
#ROOTNAMESPACEBEGIN#
public class #SCRIPTNAME# : MonoBehaviour
{
void Start()
{
#NOTRIM#
}
void Update()
{
#NOTRIM#
}
}
#ROOTNAMESPACEEND#
3-1. 권한 문제로 잘 수정이 되지 않는 경우
파일을 바로 수정할 수 없다고 뜨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.
이런 경우엔 위 txt 파일을 복사해서 다른 디렉토리에 붙여넣고 원하는 내용을 수정한 다음,
원래 txt 파일을 삭제하고 수정한 파일을 그 자리에 넣으면 적용이 가능하다.
4. 완료
텍스트 파일을 잘 저장했다면, 이제 해당 에디터에서 주석 내용이 기본적으로 적혀 있지 않을 것이다.
주석 뿐만이 아니라 내가 원하는 기본 템플릿이 있다면 응용해도 좋을 것 같다.
'게임 개발 > 유니티 엔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유니티 C# 스크립트 코드 한글 깨짐, 인코딩 해결방법 (0) | 2025.04.16 |
---|---|
유니티의 스크립터블 오브젝트(Scriptable Object)란 무엇일까 (0) | 2025.04.06 |
유니티와 C#에서의 GC (Garbage Collection) (1) | 2025.03.24 |
유니티 C# 제네릭, 제네릭 싱글톤 패턴 (Generic Singleton) (0) | 2025.03.19 |
유니티 엔진의 맵/오브젝트를 언리얼 엔진으로 옮기기 (2) | 2024.09.02 |